본문 바로가기

발송배전기술사2

[송배전공학] 송전방식 -1편- 테슬라와 에디슨의 전쟁이라고 볼 수 있는 '교류'와 '직류'방식, 사실 전기공학을 전공하신 분들 중에서도 간혹 교류와 직류를 명확히 구별해서 설명 못하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근데 절대 어렵게 생각할 필요 없이 이 사실 하나만 기억해두세요! 교류는 (+)와 (-)가 교번 하여 존재한다. 직류는 (+)뿐이거나 (-)뿐이다.※ (+) 와 (-)는 단지 방향을 나타낸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를 위라고 생각하고, (-)를 아래라고 생각한다면 교류는 양쪽 방향으로 모두 전기를 흘려보내고요. 직류는 한쪽 방향으로만 전기를 흘려보냅니다. 그래서 보통 배터리(Battery), 건전지 같은 경우가 대표적인 직류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인데요. 교류와 직류의 가장 일반적인 그래프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교류.. 2022. 10. 2.
[송배전공학] 송배전계통 구성 1. 송배전계통 구성 전력계통은 물건이 유통되는 과정과 유사하게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물건이 최초로 만들어지는 공장이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대량 생산된 물건을 운송하는 대형화물트럭과 고속도로도 있습니다. 물건들이 각 소비자에게로 배분되기 전 집합되는 창고가 있을 것이고, 그 창고에서 소형화물트럭으로 해당 지역에 있는 판매점들로 각각 물건이 운송되죠.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전기(전력)를 생산하는 발전소가 있고, 대량으로 발전된 전기를 운송하는 송전선로가 있으며, 전기가 각 소비지로 배분되기 전 집합되는 변전소가 있습니다. 그러면 그 변전소에서 배전선로를 통해 해당 지역에 있는 전기사용자들에게 각각 전력을 공급하는 구조인 것이죠.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이 발전소의 스위치야.. 2022. 9. 21.
반응형